나같은 경우는 다른사람의 간섭없이,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부족함 없이 살아가는 것이 그것이라고 생각한다.
오늘 대한민국 트렌드라는 책을 보다가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하고, 피식 하여 옮겨보았다.
한 미국인 관광객이 멕시코의 작은 어촌에 도착했다
그는 마을의 어부가 잡은 크고 싱싱한 물고기를 보고 감탄했다
"그거 잡는데 얼마나 걸렸나요?"
멕시코 어부 왈
"별로 오래 걸리진 않았어요"그러자 미국인이 재차 물었다
"왜 좀더 시간을 들여 물고기를 잡지 않나요? 더 많이 잡을 수 있을텐데..."
멕시코 어부는 적은 물고기로도 자신과 가족들에게는 충분하다고 했다
"그럼 남은 시간에는 무얼하세요?"
"늦잠자고 낚시질 잠깐하고, 애들이랑 놀고, 마누라 하고 낮잠자고...밤에는 마을에가서 친구들하고
술한잔 합니다. 기타치고 노래도 하고.."
미국인이 그의 말을 막았다.
"사실 제가 하버드 MBA입니다. 제 말좀 들어보세요.!
당신은 매일 좀더 많은 시간을 들여 낚시질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더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을 거예요.
그러면 더 많은 수입이 생기고 더 큰 배도 살 수 있죠. 큰 배로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배를 몇 척 더 살 수 있고, 나중에는 수산회사도 차릴 수 있습니다.
당신은 이 조그만 마을을 떠나 멕시코 시티나, LA, 아니면 뉴욕으로 이사도 할 수 있구요!"
이번엔 어부가 물었다.
"그렇게 되려면 얼마나 걸리죠?"
"20년...아니 25년 정도요."
'그 다음에는요?"
"당신 사업이 진짜로 번창했을 때는 주식을 팔아서 백만장자가 되는 거죠!"
"백만장자? 그 다음에는요?"
"그 다음에는 은퇴해서 바닷가가 있는 작은 마을에 살면서 늦잠자고 아이들이랑 놀고 낚시질로 소일하고 낮잠자고...그리고 남는 시간에 술마시고 친구들이랑 노는거죠!"
- 2010 대한민국 트렌드에서 따온글(이지만 이 책도 어디선가 가져온거 같아요 :D ) -
결국엔 원점으로 돌아온다는 것 이지만, 물질적으로 남길 수 있는게 "있다."와 "없다."의 차이가 아닐까.
또한, 열심히 일한 뒤에 얻는 휴식과 언제나 얻을 수 있는 일상에는 굉장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20대인 내가 보기엔 상당히 중요해 보인다.
겉으론 상당히 비슷해 보이지만, 막상 현실 속을 들여다보면 매우 다른 생활을 볼 수 있다.
좀 더 풍요로운 생활을 즐기고 싶은 아내의 바가지와 Seafood 말고 좀 더 맛있는것 먹으러 가자는 아이들의 성화.
아이들을 어부로 키울 것이 아니라면, 자식들에게 들어갈 교육비.
이미 자급자족시대는 벗어난지 오래다. 필요가 있을 때는 교환을 해야 하고, 교환을 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가치를 지닌 물건을 내놔야 한다. 이에 들어갈 생활비.
하버드 MBA는 대단해.